[ { id : 0, title : "White and Black", content : "Born in France", price : 120000 }, { id : 1, title : "Red Knit", content : "Born in Seoul", price : 110000 }, { id : 2, title : "Grey Yordan", content : "Born in the States", price : 130000 } ]
위와같이 상품 데이터가 array 자료형 안에 object 자료형 세개가 존재하는 형태로 존재한다고 하자.
[{},{},{}]
위의 데이터를 state 로 만들고 싶은데 좀 길다.
이럴 땐 다른 파일에 보관했다가 import 해서 사용할 수 있다.
(data.js 파일) let a = 10; export default a;
export default 변수명; 사용하여 원하는 변수를 다른 파일로 내보낼 수 있다.
(App.js 파일) import a from './data.js'; console.log(a)
export 한 변수를 다른 파일에서 사용할 땐
import 이름 from './파일경로' 로 사용할 수 있다.
- 변수, 함수, 자료형 모두 export 할 수 있다.
- 파일마다 export default 라는 키워드는 하나만 사용 가능하다.
- 파일경로는 ./ 부터 시작해야한다. (현재경로)
여러개의 변수들을 내보낼 땐 export default 대신 {} 를 사용한다.
(data.js 파일) var name1 = 'Kim'; var name2 = 'Park'; export { name1, name2 }
(App.js 파일) import { name1, name2 } from './data.js';
export{} 한 것들은 import{} 할 때 자유롭게 작명이 불가능하다. export 한 변수명 그대로 사용해야한다.
'FrontEnd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Router (navigate, nested routes, outlet), useParams (0) | 2023.02.25 |
---|---|
React Router (0) | 2023.02.17 |
React 이미지 파일 사용하기 (0) | 2023.02.17 |
Class 이용하여 컴포넌트 생성하기 (0) | 2023.02.17 |
props (0) | 2023.02.17 |